현재의 세계를 좌지우지하는 패권국가는 미국이다.여러모로 부족한 점이 있지만 아직 미국에게 대적할 세력은 존재하지 않는다차세대 패권국가로 중국이 거론되고 있지만 갈 길은 요원하다아래의 글은 패권국가인 미국에 대해서 파노라마식으로 나열해 보겠읍니다1.20세기에 비해 21세기의 미국은 조금 관용이 부족한 점이 보이고 있읍니다. 인간과 마찬가지로 대국(패권)국가는 관용 즉 너그러움이 우선입니다
현재 경제의 상황을 디플레이션이라 규정하고, 이 때문에 세계 경제가 어려워지고 미국도 디플레이션 탈출 방법으로 독점 시스템을 구사하고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책이다. 20세기는 미국의 시대였지만 급속한 기술의 발달과 냉전 종식, 세계화로 미국의 힘은 점차 약해지고 있다. 저자는 미국의 갑작스런 붕괴는 1930년대 대공황에 필적할 만한 혼란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미국 경제는 연착륙해야 하며 그에 따른 한국의 대응을 예측하고 있다.
저자는 미국이 붕괴된 이후 시대에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해서 ‘기업의 소유 지배 구조 투명화와 신기술 개발’, ‘정부의 외교적 능력 확보와 장기 비전 마련’, ‘시민단체의 유연함을 갖춘 시각과 행동’을 촉구한다.
1부 미국의 독점 시스템
1. 미국만의 독점시스템
2. 독점시스템의 10가지 구조
1) 강력한 군사력과 신보수주의 | 2) 경제와 지정학의 융합 | 3)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확산 | 4) 금융자본의 완벽한 통제 | 5) 자원의 독점 | 6) 민주주의의 전략 무기화 | 7) 뛰어난 과학기술 | 8) 소프트 파워 | 9) 정경유착 | 10) 미국 내부의 지지
3. 자발적 굴복
2부 흔들리는 거인
1. 약화되는 미국 경제
2. 군사력의 한계
3. 대항 세력의 등장
4. 세계화, 신자유주의의 부작용
5. 독점적 금융 자본의 해체 가능성
6. 자원 전쟁
7. 제3의 민주주의
8. 소프트파워와 미국 문화의 균열
3부 저항과 배신
1. 독점시스템은 저항을 유발한다.
2. 분열과 배신의 연쇄작용
4부 미국의 미래와 한국
1. 미국의 미래
2. 한국의 준비
카테고리 없음